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금융

2025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과 세전·세후 차이 총정리

by 슬기로운J 2025. 5. 3.

2025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과 세전·세후 차이 총정리


"연봉 4천? 실수령은 얼마?" 2025년 연봉 실수령액 차이 한눈에 보기


연봉 3천~6천만원까지 실수령액 비교표 (2025년 최신 기준)

2025년 기준 소득세, 4대 보험 비율을 반영한
연봉별 실수령액 차이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연봉 (세전) 월 실수령액 연간 실수령액 공제액 (연간)

30,000,000 약 2,150,000원 약 25,800,000원 약 4,200,000원
40,000,000 약 2,840,000원 약 34,080,000원 약 5,920,000원
50,000,000 약 3,490,000원 약 41,880,000원 약 8,120,000원
60,000,000 약 4,080,000원 약 48,960,000원 약 11,040,000원

"실수령액은 연봉의 약 82~85% 수준"으로
생각하시면 편리합니다.


2025년 개정된 4대 보험 요율 총정리

4대 보험 요율은 해마다 조금씩 조정됩니다.
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반영됩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7.12% + 장기요양 0.82%
  • 고용보험: 0.9%
  • 산재보험: 사용자 전액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따라서 월급에서 빠지는 비율은 약 15% 전후
계산됩니다. 실제로는 소득 구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연봉 5천만원, 월급으로 받으면 얼마일까? (실제 시나리오)

실제 사례 기반 시뮬레이션

  • 연봉: 50,000,000원
  • 월세전: 약 4,166,666원
  • 공제 후 월 실수령액: 약 3,490,000원

"매월 약 67만원가량 공제"되어
연간으로는 약 80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중요: 상여금, 식대, 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 유무에 따라
실수령액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세전과 세후의 가장 큰 차이: 세금 + 보험

"세전 4천만원인데 왜 이렇게 적게 받지?"

이런 질문은 누구나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공제 항목 때문입니다.

  • 세금: 소득세 + 지방소득세
  • 사회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공제는 월급의 15~20%까지도 가능하기 때문에
"세전과 세후는 항상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직접 계산해보기: 무료 실수령액 계산기 추천

다음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빠르고 정확하게 실수령액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 네이버 연봉계산기
  • 사람인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 잡코리아 급여 계산기

"연봉 외에 수당, 상여, 비과세 항목도 입력 가능"하여
보다 현실적인 실수령액 추정이 가능합니다.


연봉 인상 시 세후 수령액이 생각보다 적은 이유

연봉이 인상되면 기대감도 커지지만,
실제 수령액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봉이 오르면 세율 구간이 바뀌어
    더 많은 세금이 부과
  • 건강보험료도 소득에 따라 자동 인상
  • 실질 상승폭은 세전 기준의 60~70% 수준

예를 들어, 연봉이 500만 원 인상되더라도
실수령액은 300만 원 정도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월급 외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를 잊지 마세요

프리랜서, 부업, 배당, 임대 수익 등
추가 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수입니다.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확인
  • 소득 합산 시 세율 구간도 상향될 수 있음
  • 실수령액이 줄어드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중과세나 가산세 방지를 위해
연말정산 외 소득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