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4천? 실수령은 얼마?" 2025년 연봉 실수령액 차이 한눈에 보기
연봉 3천~6천만원까지 실수령액 비교표 (2025년 최신 기준)
2025년 기준 소득세, 4대 보험 비율을 반영한
연봉별 실수령액 차이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연봉 (세전) 월 실수령액 연간 실수령액 공제액 (연간)
30,000,000 | 약 2,150,000원 | 약 25,800,000원 | 약 4,200,000원 |
40,000,000 | 약 2,840,000원 | 약 34,080,000원 | 약 5,920,000원 |
50,000,000 | 약 3,490,000원 | 약 41,880,000원 | 약 8,120,000원 |
60,000,000 | 약 4,080,000원 | 약 48,960,000원 | 약 11,040,000원 |
"실수령액은 연봉의 약 82~85% 수준"으로
생각하시면 편리합니다.
2025년 개정된 4대 보험 요율 총정리
4대 보험 요율은 해마다 조금씩 조정됩니다.
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반영됩니다.
- 국민연금: 4.5%
- 건강보험: 7.12% + 장기요양 0.82%
- 고용보험: 0.9%
- 산재보험: 사용자 전액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따라서 월급에서 빠지는 비율은 약 15% 전후로
계산됩니다. 실제로는 소득 구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연봉 5천만원, 월급으로 받으면 얼마일까? (실제 시나리오)
실제 사례 기반 시뮬레이션
- 연봉: 50,000,000원
- 월세전: 약 4,166,666원
- 공제 후 월 실수령액: 약 3,490,000원
"매월 약 67만원가량 공제"되어
연간으로는 약 80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중요: 상여금, 식대, 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 유무에 따라
실수령액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세전과 세후의 가장 큰 차이: 세금 + 보험
"세전 4천만원인데 왜 이렇게 적게 받지?"
이런 질문은 누구나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공제 항목 때문입니다.
- 세금: 소득세 + 지방소득세
- 사회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공제는 월급의 15~20%까지도 가능하기 때문에
"세전과 세후는 항상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직접 계산해보기: 무료 실수령액 계산기 추천
다음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빠르고 정확하게 실수령액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 네이버 연봉계산기
- 사람인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 잡코리아 급여 계산기
"연봉 외에 수당, 상여, 비과세 항목도 입력 가능"하여
보다 현실적인 실수령액 추정이 가능합니다.
연봉 인상 시 세후 수령액이 생각보다 적은 이유
연봉이 인상되면 기대감도 커지지만,
실제 수령액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봉이 오르면 세율 구간이 바뀌어
더 많은 세금이 부과 - 건강보험료도 소득에 따라 자동 인상
- 실질 상승폭은 세전 기준의 60~70% 수준
예를 들어, 연봉이 500만 원 인상되더라도
실수령액은 300만 원 정도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월급 외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를 잊지 마세요
프리랜서, 부업, 배당, 임대 수익 등
추가 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수입니다.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확인
- 소득 합산 시 세율 구간도 상향될 수 있음
- 실수령액이 줄어드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중과세나 가산세 방지를 위해
연말정산 외 소득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재테크,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X 지수란? 변동성 지수 투자 방법과 ETF 활용법 완전정복 (0) | 2025.05.04 |
---|---|
2025 단독가구 근로장려금, 조건부터 계산기까지 완벽 정리! (1) | 2025.05.03 |
KCB·NICE 신용점수표로 신용등급 올리는 비밀 전략 (0) | 2025.05.03 |
개인 신용대출 갈아타기 전 꼭 알아야 할 꿀팁 7가지 (0) | 2025.05.03 |
지주택과 지역주택조합 차이, 청약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 (1) | 2025.05.02 |